국회세미나: 시공사가 본 미분양, 기술과 데이터의 과제

‘AI신기술융합을 통한 주거안정과 미분양 해결방안 국회세미나’서 시공사는 주거 트렌드 맞춤 기술과 함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공공 데이터의 한계를 지적하였습니다.
May 20, 2025
국회세미나: 시공사가 본 미분양, 기술과 데이터의 과제

지난 4월 23일, ‘AI 신기술 융합을 통한 주거안정과 미분양 해결방안 국회세미나’에서 현대건설 스마트건설연구실 이혜진 책임은 공급자(시공사)의 관점에서 미분양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대응 방안과 과제를 제시했습니다. 이 책임은 미래 주거 트렌드를 반영한 상품성 강화 노력과 함께, AI 예측의 기반이 되는 공공 데이터의 신뢰도 문제를 핵심 과제로 짚었습니다.

미래 주거 트렌드에 맞춘 ‘상품성 강화’ 전략

이혜진 책임은 시공사들이 미분양을 줄이기 위해 단순히 사업지 선정에만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주거 트렌드에 맞춰 상품성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에 주목하여 실버 특화 주거 상품을 개발하고, UAM(도심 항공 모빌리티) 등 새로운 모빌리티 기술을 주거 환경에 접목하기 위한 인프라 연구 및 상품화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개별화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미분양 리스크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AI 예측의 기반, ‘공공 데이터’의 신뢰도 향상 필요

이혜진 책임은 AI 기술 활용의 가장 기본 전제는 ‘양질의 데이터’라며, 시공사들이 겪는 데이터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빅데이터 기반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지만, 주로 의존하는 공공 데이터의 정확성과 실시간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어 AI 예측 모델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공공기관이 데이터 품질 관리에 더욱 신경 써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끝으로 데이터 품질 개선과 더불어, 정부와 인허가권자가 부동산 예측 모델을 적극 활용하여 공급 과잉을 사전에 제어하는 정책적 노력을 병행해 줄 것을 제언하며 발표를 마무리했습니다.

Share article
Write your description body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