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미분양 골칫거리∙∙∙ 한국자산매입 'AI 매수청구권' 해법제시
전국 미분양 주택이 7만호를 돌파하며 시장의 핵심 과제로 다시 떠올랐다. 그러나 단기적 세제 완화나 규제 완화만으로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 주택공급 안정, 금융시장 신뢰 회복이라는 근본적 문제 해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자산매입이 운영하는 ‘헷지했지 보호약정(매수청구권)’이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매수청구권은 일종의 부동산 풋옵션으로, 수분양자가 일정 기간 후 미리 확정한 가격으로 주택을 되팔 수 있는 권리입니다. 불확실한 주택 가격 하락이나 금리 상승, 개인 사정 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안전장치이며, 이는 수분양자에게는 안정성을, 건설사에는 초기 분양률 확보와 유동성 개선 효과를 동시에 제공한다.
특히 한국자산매입은 단순한 리스크 방어를 넘어, AI 기반 PRISM(프리즘) 엔진을 활용해 분양률·시세·금리·거시지표 등 200여 개 변수를 실시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매수청구권 조건을 합리적으로 산출하고, 단지별 적정 분양가를 도출함으로써 공급자와 수요자 간 불균형을 줄이는 AI 부동산 솔루션을 제시한다.
아울러, 매수청구권으로 확보한 주택은 소셜 믹스형 임대주택으로 편입된다. 청년·신혼부부·고령층·저소득층이 함께 거주하는 구조로 설계해 낙인효과를 줄이고, AI 기반 임대료 산정으로 공급자에게는 안정적 수익성을, 수요자에게는 예측 가능한 가격을 보장한다. 이로써 한국자산매입은 프롭테크 기업으로서 ESG 기반의 지속가능한 주거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전문가들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다. 건국대 이현석 교수는 “한국자산매입의 매수청구권은 부동산 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도”라며 제도적 뒷받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경기대 한상범 교수는 “정부의 단기적 미분양 매입 정책보다 수분양자가 스스로 가격 하락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 메커니즘”이라고 평가했다.